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는 19세기 프랑스의 비평가, 소설가, 시인이다. 그는 1820년대 파리에서 의학을 공부하며 문학 활동을 시작했으며, 빅토르 위고를 비롯한 낭만주의 작가들과 교류했다. 생트뵈브는 평론집 《문학적 초상》, 《월요담론》등을 통해 문학 비평가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소설 《볼뤼프테》, 시집 《조셉 들로름의 생애, 시, 생각》등을 발표했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얀센주의 수도원 포르루아얄에 대한 역사서 《포르루아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불로뉴쉬르메르 출신 - 프랑크 리베리
프랑크 리베리는 1983년생 프랑스 출신 전 축구 선수로, 여러 유럽 클럽에서 뛰어난 기량을 선보이며 화려한 선수 생활을 했고, 특히 바이에른 뮌헨에서 전성기를 보내며 다수의 우승을 차지했으며, 프랑스 국가대표로도 활동했다. - 불로뉴쉬르메르 출신 - 스테판 라누아
스테판 라누아는 2006년 FIFA 국제심판 자격을 취득한 축구 심판으로, UEFA 유로, 올림픽,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활동했으며,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 카카에게 내린 퇴장 판정으로 논란을 일으켰다. - 1869년 사망 -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제14대 더비 백작 에드워드 조지 제프리 스미스스탠리는 영국의 정치가, 귀족, 지주로서 보수당 당수와 총리를 역임했으며, 휘그당에서 시작하여 보수당으로 당적을 옮겨 빅토리아 시대 주요 정치인으로서 선거법 개정에 기여했다. - 1869년 사망 - 에드윈 M. 스탠턴
에드윈 M. 스탠턴은 미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링컨 대통령 시절 전쟁장관을 역임하며 남북 전쟁 북군 승리에 기여하고 노예 해방 선언에 영향을 미쳤으며, 존슨 대통령 재임 시절 탄핵 과정에 등장한 후 대법관에 지명되었으나 사망했다.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샤를 오귀스탱 생트뵈브 |
출생 | 1804년 12월 23일 |
출생지 | 불로뉴쉬르메르, 피카르디, 프랑스 |
사망 | 1869년 10월 13일 (64세) |
사망지 | 파리, 프랑스 |
국적 | 프랑스 |
교육 | 콜레주 샤를마뉴 |
직업 | 문학 평론가 |
언어 | 프랑스어 |
작품 활동 | |
주요 작품 | 《포르루아얄》 |
기타 | |
서명 | Charles Augustin Sainte-Beuve 서명 |
2. 생애
불로뉴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교육받았으며, 파리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1824년부터 문학 기사를 기고하며 빅토르 위고와 세나클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다.[1] 1834년에는 시집과 소설을 출판했다. 1848년 유럽 혁명 동안 리에주에서 강의했고, 파리로 돌아와 ''르 콩스티튀시오넬(Le Constitutionnel)''지에 『월요담론(Causeries du lundi)』 칼럼 연재를 시작했다. 루이 나폴레옹에 의해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로 임명되었으나, 반제국주의 학생들의 야유로 사임했다. 대표작으로 포르루아얄 수도원에 대한 역사서인 《포르루아얄》(1837–1859)이 있으며, 이는 종교적 신념, 역사철학, 미학의 역사에 영향을 미쳤다.
1865년 상원의원이 된 그는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는 연설로 두각을 나타냈다. 쥘 아메데 바르베 도르비이는 "생트뵈브는 칠면조의 기질을 가진 영리한 남자였다!"고 평했다. 말년에는 심한 고통을 겪으며 은퇴 생활을 했다.
생트뵈브는 예술가와 그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예술가의 전기를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마르셀 프루스트는 《생트뵈브 반박(Contre Sainte-Beuve)》에서 이 주장을 반박했으며,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에서 이 아이디어를 발전시켰다.
2. 1. 초기 생애
불로뉴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교육받았으며, 1824년부터 1827년까지 파리의 샤를마뉴 칼리지에서 의학을 공부했다. 1828년에는 생 루이 병원에서 근무했다. 1824년부터 자신의 작품집인 '최초의 월요일'에 실릴 문학 기사를 신문 글로브에 기고했으며, 1827년에는 빅토르 위고의 ''송가와 발라드''에 대한 서평을 통해[1] 낭만주의 사상을 정의하고 고전 형식주의에 맞서 싸우려 했던 문학 서클인 세나클과 가까운 관계를 맺게 되었다. 생트뵈브는 위고의 작품에 대한 호평을 발표한 후 위고와 친해졌지만, 이후 위고의 아내인 아델 푸셰와 불륜을 저질러 둘의 관계는 소원해졌다. 1845년 생트뵈브가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을 때, 환영 연설을 하는 의례적인 의무는 위고에게 돌아갔다.2. 2. 경력
생트뵈브는 1834년에 시집과 부분적으로 자전적 소설인 『볼뤼프테』를 출판했고, 그의 기사와 에세이는 『문학적 초상』에 수집되었다.1848년 유럽 혁명 동안 그는 리에주에서 "샤토브리앙과 그의 문학 서클"에 대해 강의했다. 1849년 파리로 돌아와 신문 『르 콩스티튀시오넬(Le Constitutionnel)』에 시사 칼럼 시리즈인 『월요담론(Causeries du lundi)』을 시작했다. 루이 나폴레옹이 황제가 되자, 생트뵈브를 라틴어 시의 콜레주 드 프랑스 교수로 임명했지만, 반제국주의 학생들은 그를 야유했고 그는 사임했다.
2. 2. 1. 『포르루아얄』
생트뵈브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포르루아얄》(1837–1859)은 파리 근교의 얀센주의 수도원 포르루아얄데샹에 대한 상세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종교적 신념의 역사, 즉 그러한 연구의 방법에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역사철학과 미학의 역사에도 영향을 미쳤다.3. 비평 방식과 논쟁
프리드리히 니체는 1880년에 생트뵈브에 대한 공공연한 반대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친구 프란츠 오버벡의 아내 이다 오버벡에게 ''월요일 좌담''(Causeries du lundi)을 독일어로 번역하도록 권했다. 당시 생트뵈브는 프랑스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지만, 독일에서는 혐오하는 프랑스식 사고방식을 대표한다고 여겨져 독일어로 출판되지 않았다. 이다 오버벡의 번역본은 1880년 ''18세기의 사람들''(Die Menschen des XVIII. Jahrhunderts)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니체는 1880년 8월 18일 이다 오버벡에게 "한 시간 전에 ''18세기의 사람들''을 받았습니다. [...] 정말 훌륭한 책입니다. 울 뻔했습니다."라고 편지를 썼다. 이다 오버벡의 번역은 강한 긴장 상태에 있던 시기에 독일과 프랑스 간의 문화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문서이지만, 대체로 무시되었다. 이 번역본의 비평적이고 주석이 달린 판본은 2014년에야 출판되었다.[2]
4. 평가
프리드리히 니체는 생트뵈브에 대해 공공연하게 반대했지만, 1880년 친구 프란츠 오버벡의 아내 이다 오버벡에게 ''월요일 좌담''(Causeries du lundi)을 독일어로 번역하도록 권했다. 당시 프랑스에서 생트뵈브는 매우 중요한 인물로 여겨졌지만, 독일에서는 혐오하는 프랑스식 사고방식을 대표한다고 여겨져 그의 저작은 독일어로 출판되지 않았다. 이다 오버벡의 번역본은 1880년 ''18세기의 사람들''(Die Menschen des XVIII. Jahrhunderts)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니체는 1880년 8월 18일 이다 오버벡에게 "한 시간 전에 ''18세기의 사람들''을 받았습니다. [...] 정말 훌륭한 책입니다. 울 뻔했습니다."라고 편지를 썼다. 이 번역본은 독일과 프랑스 간의 문화 교류가 강한 긴장 상태에 있던 시기에 이루어진 중요한 문서이지만, 대체로 무시되었다. 이 번역본의 비평적이고 주석이 달린 판본은 2014년에야 출판되었다.[2]
5. 작품
생트뵈브는 문학 평론가이자 작가로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은 크게 논픽션, 소설, 시로 나눌 수 있으며, 영어 번역본도 다수 출간되었다.
'''소설'''
- ''볼뤼프테''(Volupté) (1834)
- ''마담 드 퐁티비''(Madame de Pontivy) (1839)
- ''크리스텔''(Christel) (1839)
- ''진자''(La Pendule) (1880)
'''시'''
- ''조셉 들로름의 생애, 시, 생각''(Vie, Poésies et Pensées de Joseph Delorme) (1829)
- ''위안''(Les Consolations) (1830)
- ''8월의 생각''(Pensées d'août) (1837)
- ''사랑의 책''(Livre d'Amour) (1843)
- ''완전한 시집''(Poésies Complètes) (1863)
- ''어떤 이탈리아 여인의 프랑스 시''(Poésies françaises d'une Italienne) (1854) - 아가테-소피 사세르노의 작품으로, 생트뵈브가 서문을 썼다.
'''영어 번역본'''
- ''유명 여성들의 초상''(Portraits of Celebrated Women) (1868, 해리엇 워터스 프레스턴 번역)
- ''마담 데보르드-발모르 회고록''(Memoirs of Madame Desbordes-Valmore) (1873, 해리엇 워터스 프레스턴 번역)
- ''영국 초상''(English Portraits) (1875, ''월요일 담화''에서 발췌)
- ''월요일 담화''(Monday-chats) (1877, 윌리엄 매튜스 번역)
- ''남성과 여성에 관한 에세이''(Essays on Men and Women) (1890, 윌리엄 매튜스 및 해리엇 워터스 프레스턴 번역)
- ''에세이''(Essays) (1890, 엘리자베스 리 번역)
- ''남성의 초상''(Portraits of Men) (1891, 포사이스 에데베인 번역)
- ''여성의 초상''(Portraits of Women) (1891, 헬렌 스토트 번역)
- ''생트뵈브 선집''(Select Essays of Sainte-Beuve) (1895, 아서 존 버틀러 번역)
- ''리뉴 공작''(The Prince de Ligne) (1899, 캐서린 프레스콧 웜리 번역)
- ''팔라틴 공주 마담의 서신''(The Correspondence of Madame, Princess Palatine) (1899, 캐서린 프레스콧 웜리 번역)
- ''생트뵈브의 에세이''(The Essays of Sainte-Beuve) (1901, 윌리엄 샤프 편집)
- ''베르니 추기경의 회고록과 서신''(Memoirs and Letters of Cardinal de Bernis) (1902, 캐서린 프레스콧 웜리 번역)
- ''월요일 담화''(Causeries du lundi) (1909–11, 8권, E.J. 트레치만 번역)
- ''선집''(Selected Essays) (1963, 프랜시스 스티그뮬러 및 노르베르트 구터먼 번역 & 편집)
- ''볼뤼프테: 감각적인 남자''(Volupté: The Sensual Man) (1995, 마릴린 가디스 로즈 번역)
5. 1. 논픽션
여러 권의 시집과 두 편의 소설을 출간했으나 실패한 후, 생트뵈브는 문학 연구를 시작했으며, 그 결과 가장 중요한 출판물은 ''포르-로얄''이다. 그는 La Revue contemporaine(La Revue contemporaine)에 계속 기고했다.생트뵈브의 대표작 ''포르-로얄''(1837–1859)은 파리 근교 얀센주의 수도원 포르-로얄데샹의 상세한 역사서이다. 이 책은 종교적 신념의 역사 연구 방법뿐만 아니라 역사철학과 미학의 역사에도 영향을 미쳤다.
1865년 상원의원이 된 그는 언론의 자유를 옹호하는 연설로 두각을 나타냈다. 쥘 아메데 바르베 도르비이는 "생트뵈브는 칠면조의 기질을 가진 영리한 남자였다!"라고 평했다. 말년에 그는 심한 고통을 겪으며 은퇴 생활을 했다.
생트뵈브는 예술가와 그의 작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예술가의 전기를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마르셀 프루스트는 ''생트뵈브 반박(Contre Sainte-Beuve)'' 에세이에서 이 개념을 반박했다. 프루스트는 이 에세이에서 처음 제기한 아이디어를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에서 발전시켰다.
생트뵈브의 논픽션 작품은 다음과 같다.
제목 | 출판 연도 | 권수 | 비고 |
---|---|---|---|
16세기 프랑스 시와 프랑스 연극에 대한 역사적이고 비평적인 표 | |||
포르 로열(Port-Royal) | 1840–1859 | 5권 | |
문학 초상(Portraits Littéraires) | 1844, 1876–78 | 3권 | |
현대 초상(Portraits Contemporains) | 1846, 1869–71 | 5권 | |
여성 초상(Portraits de Femmes) | 1844, 1870 | ||
'월요일 담화(Causeries du Lundi) | 1851–1881 | 16권 | |
'새로운 월요일(Nouveaux Lundis) | 1863–1870 | 13권 | |
'첫 번째 월요일(Premiers Lundis) | 1874–75 | 3권 | |
'베르길에 대한 연구(Étude sur Virgile) | 1857 | ||
'샤토브리앙과 그의 문학 단체(Chateaubriand et son Groupe Littéraire) | 1860 | 2권 | |
'장군 조미니(Le Général Jomini) | 1869 | ||
'마담 데보르드-발모르(Madame Desbordes-Valmore) | 1870 | ||
'M. 드 탈레랑(M. de Talleyrand) | 1870 | ||
'P.-J. 프루동(P.-J. Proudhon) | 1872 | ||
'파리 연대기(Chroniques Parisiennes) | 1843–1845, 1876 | ||
'생트뵈브의 공책(Les Cahiers de Sainte-Beuve) | 1876 | ||
'내 독(Mes Poisons) | 1926 |
5. 2. 소설
- 《볼뤼프테》(Volupté, 1834)
- 《마담 드 퐁티비》(Madame de Pontivy, 1839)
- 《크리스텔》(Christel, 1839)
- 《진자》(La Pendule, 1880)
5. 3. 시
- 《조셉 들로름의 생애, 시, 생각》(Vie, Poésies et Pensées de Joseph Delorme) (1829)
- 《위안》(Les Consolations) (1830)
- 《8월의 생각》(Pensées d'août) (1837)
- 《사랑의 책》(Livre d'Amour) (1843)
- 《완전한 시집》(Poésies Complètes) (1863)
- 《어떤 이탈리아 여인의 프랑스 시》(Poésies françaises d'une Italienne) (1854) - 아가테-소피 사세르노의 작품으로, 생트뵈브가 서문을 썼다.
6. 한국어 번역
- Causeries du lundi|월요 한담|프랑스어 (도이 히로유키 역, 후잔보 백과문고, 1978년)
- Ma poison|나의 독|프랑스어 (고바야시 히데오 역, 현행판은 "작품집 12" 신초샤, 2003년)
- P.-J. Proudhon, sa vie et sa correspondance|프루동 그 생애와 서간|프랑스어 (하라 유키오 역, 고전 문고 41: 겐다이시초신샤, 2013년), 외
참조
[1]
간행물
Sainte-Beuve, Charles Augustin
[2]
서적
Charles-Augustin Sainte-Beuve: Menschen des XVIII. Jahrhunderts. Übersetzt von Ida Overbeck, initiiert von Friedrich Nietzsche. Mit frisch entdeckten Aufzeichnungen von Ida Overbeck neu ediert von [[Andreas Urs Sommer]].
Berlin: Die Andere Bibliothek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